렘데시비르
-
렘데시비르 임상 3상 결과 발표, 과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는 나올 것인가?산업 이슈/신종코로나바이러스 2020. 5. 27. 19:09
https://www.nejm.org/doi/full/10.1056/NEJMoa2007764?query=featured_home&fbclid=IwAR1ooXyQRhV6fCySskjijtzZO9XtQTyyoH_TYboeWUMQw_XKF1-03-ujqh0 Remdesivir for the Treatment of Covid-19 — Preliminary Report | NEJM Original Article from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 Remdesivir for the Treatment of Covid-19 — Preliminary Report www.nejm.org http://www.hani.co.kr/arti/society/health/946171.html..
-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로 개발 되고 있는 약들에 대해 공부해봅시다!산업 이슈/신종코로나바이러스 2020. 4. 22. 08:56
안녕하세요! Bio-phrama analytics lab 입니다! 어제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침입과정과 사이토카인 폭풍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현재 코로나 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는 후보 물질과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보면서 어떤 물질이 실제로 유망한지와 관련해서 같이 공부해 보는 시간 갖도록 하겠습니다!! 어려우니까 눈 크게 뜨시고, 저를 잘 따라와 주세요! 1. 바이러스의 침입을 막는 방법 ① 완치된 환자의 항체를 이용 - 혈장 치료제 관련 기업 : TAKEDA(일본), Grifols(미국, 유일하게 미국에서 혈장 채취가 가능한 기업), GC녹십자, SK플라즈마(SK 디스커버리의 관계회사, 비상장) 혈장치료는 완치된 환자로부터 혈장을 뽑아 환자에게 주입하는 치료법이다. 병에서 회복한 환자의 혈장에는 자연..
-
렘데시비르 임상 결과 발표! 논문 분석을 통해 주식투자 하자산업 이슈/신종코로나바이러스 2020. 4. 15. 14:23
렘데시비르의 미래 1) 렘데시비르란? - nucleoside 유사체, RNA 중합체 저해 - 에볼라 치료제로 개발 도중, 임상 2상에서 에볼라 치료 효과 부재로 종료 - 중국 MERS 대상 비임상실험(영장류 대상)에서 효과 나타남 - 1월말 미국 코로나바이러스 환자에게 투여시, 하루만에 증상이 호전된 case 보고[1] 2) NEJM, 논문 분석 (동정적 사용)[2]– 효능과 부작용 A. 실험 기본 Design 투여방식: IV 정맥주사 1일:200mg, 2~10일:100mg (첫날에, 혈중 약물 농도를 최대로 올려서 약물 농도를 잘 유지시켜주기 위함) 투여 대상: 코로나 바이러스 확진환자 中 충분한 공기가 있는 공간에서 산소 포화도가 94% 이하인 환자, 또는 산소 마스크가 필요한 환자 인원: 총 53명..
-
코로나 치료제 개발 관련주 및 현황 총정리!_COVID-19(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와 렘데시비르의 미래 제 2 부_2020.04.14산업 이슈/신종코로나바이러스 2020. 4. 14. 18:06
COVID-19 치료제와 렘데시비르의 미래 제 2 부 렘데시비르의 미래 - NEJM 논문 분석 –효능과 부작용 - 대조논문과의 비교 - 렘데시비르 임상 일정 추천 Top-pick - 길리어드의 렘데시비르 -> 파미셀 - 후지필름의 아비간? 부광약품의 클레부딘 - 항체 의약품: Vir Biotech, 삼성 바이오로직스 - 사이토카인 폭풍 억제제: 사노피/리제네론의 케브자라(사릴루맙) 4. Top-pick 1) Remdesivir – Gilead 렘데시비르는 약 한 정을 만들 때 걸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그 비용도 비싸다. 렘데시비르의 원료 의약품인 nucleoside를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전세계 Nucleoside 공급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파미셀이 진정한 수혜주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비간..
-
코로나 치료제 개발 관련주 및 현황 총정리! _COVID-19(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와 렘데시비르의 미래 제 1 부_2020.04.13산업 이슈/신종코로나바이러스 2020. 4. 13. 21:20
COVID-19 치료제와 렘데시비르의 미래 제 1 부 COVID-19의 현재 미국의 확진자 수가 현재도 꺾이지 않는 모습 고령, 기저질환이 있을수록 사망률이 높아진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경증, 그러나 2차 파동을 준비해야 COVID-19 치료제 개발 현황 코로나 바이러스 침입과정 및 Cytokine 폭풍 국내 COVID-19 치료제 개발 현황 해외 COVID-19 치료제 개발 현황 COVID-19 치료제에 대한 필자의 개인적인 견해 결국 약물 재창출이 정답일 것 COVID-19 치료제와 렘데시비르의 미래 제 2 부 (발간예정) 렘데시비르의 미래 NEJM 논문 분석 –효능과 부작용 렘데시비르의 수혜주는 누가 될 것인가? 추천 Top-pick - 길리어드의 렘데시비르 - 후지필름의 아비간? 부광약품의 클레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