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제약산업에서 AI의 활용-1최신 바이오 기술에 관한 지견 2022. 1. 19. 16:15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개발이 늦어지면서 신약 개발에서 AI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AI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 전문을 참고하였다.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577280/ 제약산업에서 AI는 다음과 같은 분야에 활용가능한데, 이 중 몇가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 것이다. 1) Bioinformatics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 무엇을 가장 먼저 해야 할까? 물론, 이 질문에 대한 명확한 정답은 없다. 사람마다 접근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포 생물학적인 관점에서 접근을 하자면, 특정 질병을 일으키는 단백질을 찾고, 해당 단백질에 작용하는 약물을 찾아 정상적인 상태로 바꿔 놓으면 질병이 치료된다는 관점에서 신약 개발을 시작..
-
코로나19 바이러스 유행 이후 제약 산업의 변화와 기회-2산업 이슈/신종코로나바이러스 2021. 10. 7. 00:55
https://biopharmaanalyticslab.tistory.com/42 코로나19 바이러스 유행 이후 제약 산업의 변화와 기회-1 1. Overview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처음 발견된 코로나19바이러스(이하 코로나 바이러스)의 전세계적인 유행 이후, 벌써 많은 시간이 흘렀습니다. 코로나19 대 유행으로 인해 2020년 4~5 biopharmaanalyticslab.tistory.com 1편을 보지 못하신 분들은 1편을 먼저 보고 와주세요~~ 4. 재택 의료 시장의 발달과 새로운 산업군의 발달 코로나19로 인하여 대면진료에서 원격의료로 최근 의료의 패러다임이 옮겨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산업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저는 앞으로 크게 2가지 산업이 발달할 것으로 예상하..
-
코로나19 바이러스 유행 이후 제약 산업의 변화와 기회-1산업 이슈/신종코로나바이러스 2021. 9. 14. 21:02
1. Overview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처음 발견된 코로나19바이러스(이하 코로나 바이러스)의 전세계적인 유행 이후, 벌써 많은 시간이 흘렀습니다. 코로나19 대 유행으로 인해 2020년 4~5월 국가별 실업률이 급등한 이후, 대체로 하락 흐름을 지속하고 있으나 2019년말과 비교 했을 때, 현 실업률은 여전히 높은 수준입니다. 상대적으로 고용 시장 회복이 빠른 한국과 미국의 취업자 갭 역시 마이너스로, 전세계적으로 심각한 실업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코로나 19 위기는 서비스업, 고용과 소비에 가장 큰 충격을 줬으며, 경기 회복 과정에서도 다른 부분보다 민간 소비가 부진하고 회복도 늦은 편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IMF 세계경제 전망 기준에서는 코로나 19 이전 추세로 되돌아 ..
-
2020년 코로나 바이러스가 헬스케어 기업의 경영에 미친 영향들산업 이슈/신종코로나바이러스 2021. 8. 2. 01:58
해당 글은 BAIN&Company의 Global Healthcare Private Equity and M&A Report 2021을 기반으로 각색한 내용입니다. 1. Healthcare private equity market 2020 Review 1) 코로나로 인해 바이오 기업의 M&A, 인수 평균가가 싸졌다. 2020년 코로나의 타격으로 전반적인 사모펀드의 딜 횟구는 14%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Healthcare sector에서 사모펀드의 deal 횟수는 21% 증가했다. 그러나 deal 총액은 17% 감소하였으며, 평균 deal size는 57% 감소하였다. 즉, 저가 매수의 기회가 많이 있었음을 반증한다. 헬스케어 산업의 M&A 상위 10개 기업의 총 인수 합병 금액은 원래 전체 M&A deal ..
-
바이오 시밀러 시장은 더 성장할 수 있을까?바이오 제약주 기업분석(KOR)/대기업 2021. 5. 25. 22:51
위 사진은 국내 바이오 시밀러의 가격과 오리지널 간의 가격을 비교한 것이다. 생각보다 가격 차이가 얼마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최근 약가 인하 및 건보 재정 건전화를 위하여 제네릭 및 바이오 시밀러와 같은 복제약 사용을 정부가 권고하고 있는 입장인데, 가격 차이가 얼마나지 않는 상황에서 바이오 시밀러 시장이 과연 더 커질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문점이 든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 기사를 첨부한다.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05678 국내 시장에서 경쟁력 잃은 바이오시밀러, 문제는 '가격' - 청년의사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에피스 등이 일찍이 바이오시밀러(biosimilar) 개발에 뛰어들며 글로벌 시장에서는 유망한 기업으로..
-
공동 생동, 임상 1+3 제한법 공포 후 즉시 시행산업 이슈/약사법 및 정책 변화 2021. 4. 30. 14:19
중소제약사 많이 힘들어지겠네요,, '공동 생동·임상 1+3 제한법' 공포 후 즉시 시행' < 국회 < 정책 < 기사본문 - 히트뉴스 (hitnews.co.kr) '공동 생동·임상 1+3 제한법' 공포 후 즉시 시행' - 히트뉴스 더불어민주당 서영석 의원과 국민의힘 서정숙 의원의 공동 생동·임상 1+3 제한법안(약사법 일부개정법률안)이 병합 과정에서 유예기간 없이 \'공포 후 즉시 시행\'으로 조정된 것으로 확인됐다. www.hitnews.co.kr 전반적으로 사회가 양극화가 심화되는 방향으로 갈 것 같습니다. 또한 중소 제약사가 대형 제약사에 M&A가 앞으로는 많이 일어날 것 같습니다. 바이오 산업에 뛰어들고 싶어했던 재계 순위의 기업들에게는 또다른 기회가 될 것 같네요.
-
Global Big Pharma의 AAV Gene Therapy Biotech M&A/ Gene Therapy 회사 간 비교최신 바이오 기술에 관한 지견 2021. 2. 7. 17:14
최근, 대형 제약사들은 AAV를 활용한 gene therapy 관련 biotech들을 인수하고 있다. 노바티스는 2018년 $8.7 billion의 금액으로 AveXis Inc.을 인수하였으며, Roche는 2019년 $4.8 billion의 금액으로 Spark Therapeutics를 인수하였다. 이외에도 하기의 표를 참고하면 다양한 글로벌 빅파마들이 AAV를 활용하는 바이오 벤처들을 인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이러한, AAV gene therapy 社들을 Global Big Pharma가 적극적으로 M&A하는 이유로는, 그동안 AAV gene therapy의 한계점으로 여겨졌었던 재투여 불가능, 생산 capa의 부족 등을 극복해냈기 때문으로 알려지고 있다. SUMMARY spinal musc..
-
AAV gene therapies의 최신 동향 및 문제점최신 바이오 기술에 관한 지견 2021. 2. 6. 00:00
The clinical landscape for AAV gene therapies (nature.com) 해당 글은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에서 따온 글을 번역하고 이에 따라 제 의견을 정리한 글입니다. The clinical landscape for AAV gene therapies adeno-associated virus (AAV)를 벡터로 사용하는 유전자 치료가 최근 monogenic disorders의 새로운 치료 방법으로 급 부상 중이다. monogenic disorder는 한가지 유전자의 변형에 의해 특정 유전 질병으로 이어지는 것을 말한다. 최근, US FDA에서 2개의 adeno-associated virus (AAV) 관련 치료제가 승인받음에 따라, 관련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