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 치료제 개발 관련주 및 현황 총정리!_COVID-19(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와 렘데시비르의 미래 제 2 부_2020.04.14산업 이슈/신종코로나바이러스 2020. 4. 14. 18:06
COVID-19 치료제와 렘데시비르의 미래 제 2 부
렘데시비르의 미래
- NEJM 논문 분석 –효능과 부작용
- 대조논문과의 비교
- 렘데시비르 임상 일정
추천 Top-pick
- 길리어드의 렘데시비르 -> 파미셀
- 후지필름의 아비간? 부광약품의 클레부딘
- 항체 의약품: Vir Biotech, 삼성 바이오로직스
- 사이토카인 폭풍 억제제: 사노피/리제네론의 케브자라(사릴루맙)
4. Top-pick
1) Remdesivir – Gilead
렘데시비르는 약 한 정을 만들 때 걸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그 비용도 비싸다. 렘데시비르의 원료 의약품인 nucleoside를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전세계 Nucleoside 공급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파미셀이 진정한 수혜주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비간 역시 배제한다. 아비간은 중국에서 현재 코로나19 치료에 대해 1차 치료제로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약물이다. 그러나 국내에선 부작용을 이유로 도입하지 않았다. 또한 아비간은 세포실험에서 EC50이 61로 측정돼 렘데시비르에 비해 항바이러스 효과가 90분의 1 정도 수준으로 낮다. 120명이 참여한 임상시험에서 중간 정도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게는 회복률을 높이는 효과가 나타났다고 하지만, 중증 환자에게서는 큰 효과가 없었다.
클레부딘은 DNA 바이러스인 HBV 치료제로서(nucleoside 유사체), 4/14 임상 2상을 시작했다. RNA virus인 HCV 치료제 sofosbuvir 역시 deoxyribose 구조에 2번 탄소에 fluoride를 갖고 있는데도 효과가 있는 점을 미루어 보았을 때, 클레부딘의 deoxribose구조 그리고 2번 탄소의 fluoride 구조가 RNA polymerase에 반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은 잘못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나온 데이터가 시험관 데이터 밖에 없기 때문에 섣불리 효과가 있다고 단정할 수 없기 때문에 배제한다.
(Hydoxy)chloroquine이 현재, 美 FDA EUA를 받았지만, 현재 많은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고(심장 발작,간독성), 중국에서는 효과적이지 않다는 논문이 나오기도 했다. 또한, 항말라리아 약으로서 현재 그 기전이 완벽하게 밝혀지지 않은 점(세포 내 환경을 알칼리로 만들어 바이러스 증식을 어렵게 한다는 개연성이 있는 정도로 파악되고 있다.) 역시 부담감으로 작용한다.
2) 항체치료제 – Vir Biotech, 삼성바이오로직스
l Vir Biotech의 경우, 美 FDA 패스트 트랙 이용 가능, 패스트트랙이 없는 한국보다 빠르게 항체 치료제 만들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최근 GSK와 파트너쉽 맺음. 관련 CMO 계약을 맺은 삼성바이오로직스도 추천.
3) 사이토카인 폭풍 억제제 – Sarilumab – Sanofi/Regeneron
Tocilizumab의 경우, Humanized 된 항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human 항체인 Sarilumab이 더 적절해 보인다. 또한, JAK를 inhibit하는 것 보다는 upstream에 존재하는 IL-6를 inhibit하는 것이 부작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ruxolitinib보다는 Sarilumab을 추천한다.
여러분의 응원은 저에게 힘이 됩니다.
후원계좌: NH 농협 352 1996 0112 73
1부 2부 종합본입니다.
'산업 이슈 > 신종코로나바이러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근당 - 부시라민의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 임상 3상 성공할까 (2) 2020.04.26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로 개발 되고 있는 약들에 대해 공부해봅시다! (0) 2020.04.22 코로나 바이러스의 감염과정 과 사이토카인 폭풍 (0) 2020.04.21 렘데시비르 임상 결과 발표! 논문 분석을 통해 주식투자 하자 (0) 2020.04.15 코로나 치료제 개발 관련주 및 현황 총정리! _COVID-19(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와 렘데시비르의 미래 제 1 부_2020.04.13 (0) 2020.04.13